구약

세례요한의 사역

그가 제 어머니의 시킴을 듣고 이르되 세례 요한의 머리를 소반에 얹어 여기서 내게 주소서 하니(마14:8)

세례요한은 짧은 사역으로 감옥에서 생을 마감했지만, 예수님 오신 길을 예비하고 세례를 주는 자로서의 완전한 사역을 했습니다.
마지막은 헤롯의 불의 앞에서도 굴하지 않은 모습을 봅니다. 정의롭지 못한 현실 가운데 외면했던 마음을 회개하게 합니다.

흔들리지 않는 믿음

이사야에서 세례 요한을 보고 “주의 길을 딲고 그의 길을 고르게 하여라”로 표현을 했습니다.

그만큼 대단한 세례 요한이 옥에서 제자들을 보내어 “예수께 여짜오되 오실 그이가 당신이오니이까 우리가 다른 이를 기다리오리이까”라는 말을 한다는 것에 놀랐습니다. 예수님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었습니다. 그런데 바로 예수님은 세례 요한을 실족했다고 표현을 했습니다.

“누구든지 나로 말미암아 실족하지 아니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 하시니라” 말씀하시면서 그러한 의심을 갖지 않는 것이 복된 믿음임을 말씀하십니다.

우리의 믿음도 항상 불안합니다. 그래서 항상 깨어 있고, 주의하여 흔들리지 않는 믿음을 위해 노력을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제자를 부르는 이유

예수님께서 제자들을 부르게 된 이유가 설명되어 있습니다.

36 무리를 보시고 불쌍히 여기시니 이는 그들이 목자 없는 양과 같이 고생하며 기진함이라
37 이에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추수할 것은 많되 일꾼이 적으니
(마9:36-37)

제자들을 부르고 그들에게 권능을 주셔서 함께 사역을 하게 하셨습니다.

예수께서 그의 열두 제자를 부르사 더러운 귀신을 쫓아내며 모든 병과 모든 약한 것을 고치는 권능을 주시니라 (마10:1)

그리고 10장 5절 이후에는 제자들에게 매뉴얼을 주셨습니다

제자의 필요성에서 지금도 여전히 우리를 제자로 부르시는 예수님을 믿습니다 또한 우리에게도 권능을 주셨기에 기도의 능력을 믿습니다.
매뉴얼이 사역에 중요함을 깨닫게 됩니다. 온전한 사역을 위함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마태복음 7,8장

마태복음 7,8장을 읽었습니다

백부장이 대답하여 이르되 주여 내 집에 들어오심을 나는 감당하지 못하겠사오니 다만 말씀으로만 하옵소서 그러면 내 하인이 낫겠사옵나이다 (마8:8)

백부장의 믿음을 봅니다 또한 자신의 유익을 위함이 아니라 하인을 위한 것이고 게다가 말씀으로도 고칠 수 있다는 놀라운 믿음을 봅니다. 예수님 또한 이스라엘 중에서 이만한 믿음을 보지 못했다고 할 정도입니다 백부장의 사랑과 믿음에 도전을 받습니다.

마태복음 5,6 장

마태복음 5,6 장을 읽었습니다.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목숨을 위하여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몸을 위하여 무엇을 입을까 염려하지 말라 목숨이 음식보다 중하지 아니하며 몸이 의복보다 중하지 아니하냐 (마6:25)

여전히 염려와 근심의 대상은 세상에 두고 있습니다
잠시 머물 인생인데 본질을 놓쳐서는 안 될 것 같습니다. 또한 생사화복을 주관하시는 분이 주님이신 것을 결코 잊지 않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