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만

12월13일과 부림절

*말씀
정한 기간에 이 부림일을 지키게 하였으니 이는 유다인 모르드개와 왕후 에스더가 명령한 바와 유다인이 금식하며 부르짖은 것으로 말미암아 자기와 자기 자손을 위하여 정한 바가 있음이더라 (에9:31)
*요약
12월 13일은 하만의 음모로 유다 백성이 말살되는 날이었으나 반대로 유다 사람을 대적하는 사람들을 진멸하게 된 날이 되었습니다. 그 일로 14,15일을 부림절로 지키게 됩니다.
*나눔
유다 백성들이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되고 애통이 변하여 길한 날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금식하며 여호와께 부르짖었기 때문입니다. 살아계신 하나님이시며 푸른 초장과 쉴만한 물가로 인도하시는 분임을 기억합니다. 죽음에서 다시 생명을 얻은 부림절의 기쁨은  예수그리스도로 하여금 부활의 기쁨을 기억하게 됩니다.
전염병의 불안함과 경제의 어려움에 내 생각을 내려놓게 하시고 선하게 인도하실 주님만을 바라보게 하소서  참된 기쁨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안에서 누릴 수 있음을 깨닫게 하소서

기도하는 사람

*말씀
왕후 에스더가 대답하여 이르되 왕이여 내가 만일 왕의 목전에서 은혜를 입었으며 왕이 좋게 여기시면 내 소청대로 내 생명을 내게 주시고 내 요구대로 내 민족을 내게 주소서 (에7:3)

*요약
에스더는 금식 3일 후 죽을 각오로 왕 앞으로 나아갔습니다. 다행히 왕은 에스더를 받아 주었고, 소원을 들어 주겠다고 합니다.
돈과 권력을 움켜 준 하만은 50규빗의 장대를 세워 모르드개를 죽이고자 하였으나 결국 그 장대에 본인이 처형을 당하고 맙니다.
인물별로 정리했습니다.
1. 에스더: 삼촌 모르드개와 함께 유다의 구원을 위해 금식하고 왕께 간청을 드립니다. 이후에 지혜롭게 대처하며, 하나님의 때를 기다리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2. 모르드개: 성문 밖에서 금식하며, 계속해서 유다 민족의 구원을 위해 기도합니다. 죽게 되는 상황에서 극적인 반적으로 왕의 호의를 받게 됩니다.
3. 하만: 왕의 인정에 돈과 권력을 갖게 되어, 모르드개와 유다 민족을 죽이고자 했지만 결국 교만으로 그 덫에 본인이 죽게 되고 맙니다.
4. 아하스에로 왕: 여전히 에스더를 귀히 여깁니다. 잠이 오지 않아 궁중 일기를 읽는 중에 모르드개의 업적을 알고 그를 치하하게 됩니다.

*  나눔
유다 백성들은 두려움에 떨고 있었을 것입니다. 그들이 할 수 있는 일은 오직 기도뿐이었을 것입니다. 하나님은 에스더와 모르드개라는 인물을 통해 유다 민족의 구원을 다시 성취하게 됩니다. 이 모든 것은 금식하며 기도로 시작하였고, 왕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께 긍휼과 자비를 구하였기 때문입니다.
에스더는 왕에게 바로 간청했어도 되었을 텐데 두 번씩이나 잔치를 열자고 합니다. 하나님의 때가 있음을 알기 때문입니다. 기도하는 사람은 침묵하며, 하나님이 일하시도록 기다리는 사람임을 깨닫습니다. 조급한 마음과 불안함이 아니라 선하게 인도하실 주님만을 의지하며 기도하는 것입니다.
코로나 백신의 소식은 어둡기만 합니다. 앞으로 8개월 이상은 지금처럼 살아야 한다는 안타까운 뉴스를 들었습니다. 우리가 의지할 분은 오직 하나님뿐이시며,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것이 지금 나와 우리가 해야 될 일이 아닐까 생각하며 기도하겠습니다.